티스토리 뷰
① 정의 : 사람과 동물의 장내에서 기생하는 대장균 및 대장균과 유사한 성질을 가진 균의 총칭함.
② 노출경로 : 자연생태계에 존재하며, 인간 또는 동물의 장관에서 배출
③ 인체위해성: 일반적으로 무해한 잡균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병원균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음.
④ 특징
• 사람 및 동물의 장내(腸內)에 기생하는 세균(Escherichia coli형)과 주로 물, 토양 및 넓게
자연계에 분포된 세균(Aerobacter aerogenes형 및 중간형)의 3형을 대장균군이라 총칭함.
이들 3세균군을 각기 정확하게 구별하기는 어렵고, 일반적으로 3세균군을 합해 coli형 균이
라 하여 검사. 물과 식품의 안전도 지표로 함.
• 대장균군은 그람 염색음성(染色陰性)의 간균으로 포자를 형성하지 않고 유당을 분해하여
산과 가스를 발생하는 호기성(好氣性), 통성혐기성(痛性嫌氣性) 균으로 병원성은 낮음.
• 대장균군은 항상 변 중에서 배출되므로 그 검사는 변에 의한 오염 기준으로서 가치가 있음.
따라서 어떤 수계에서 대장균군이 검출되면 사람과 가축의 배설물에 의한 오염이 이루어졌
음을 뜻하고 또한 수인성 전염병원균의 존재 가능성을 시사함.
'Note' 카테고리의 다른 글
OSI 7계층 (네트워크 계층) (0) | 2022.08.21 |
---|---|
OSI 7계층 -데이터링크계층 (오류제어) (0) | 2022.08.21 |
OSI 7계층 - 흐름 제어, 정지 대기, 슬라이딩 윈도 (0) | 2022.08.21 |
은주혁명 (殷周革命), 서주와 동주 (0) | 2022.08.20 |
르네상스와 종교개혁 시대의 체육과 스포츠문화(르네상스 시대의 사회와 교육) 최후의 심판, 아테네 학당, 최후의 만찬, 비너스의 탄생 (0) | 2022.08.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