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It

생산능력의결정

rkaclfakt 2023. 1. 22. 21:09

생산능력계획 (capacity planning)

- 생산능력(capacity): 설비의 최대 산출률

- 설비 규모의 증감 시기와 크기를 결정

- 생산능력의 여러 의미

ü 설계 생산능력(design capacity): 목표 산출률, 이상적인 최대 생산능력

ü 유효 생산능력(effective capacity): 품질표준, 생산일정, 가용 노동력 규모의 제약을 감안한 달성 가능한 최대 산출률

ü 실제 생산능력(actual capacity): 실제로 달성하는 산출량 (일상적인 작업자 결근, 원자재,

품의 부족, 기계 고장 등을 감안)

Ø 규모결정의단기(短期) 조정수단

- 가동률 조정: 조업연장/단축, 잔업(초과근무), 작업조 교대제도, 파트타이머 활용

- 재고의 조절: 일정량을 만들어 안전 재고(safety stock) 활용

- 가격차별화: 시장의 수요를 조정 ex) 가격을 올리면 수요가 감소

- 미납품 처리(backlog): 납기 연기를 협상

- 외부조달: 아웃소싱(outsourcing)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