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소장천공의 원인: 복부 둔상 74%, >복부 자상 10% >기타 질환 13%
•소장 천공의 임상양상은 비특이적일 수도 있으므로 초기에 정확한 진단이 어렵다.
•천공이 greater omentum에 의해 즉시 덮어지면 임상적인 증상이나 징후가 수상 후 시간이 경과한 후에 나타남à 손상 부위 안에서 염증 반응이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복막 유착, 국소 농양, 완전 또는 불완전 장폐색
•또한 장간막 혈종은 장으로 가는 혈류 공급에 장애를 일으켜서 이에 따른 장관벽의 괴사 및 장파열을 발생시킬 수 있음
•진단적 술기의 발전과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소장천공의 진단은 수상 초기에 시행한 검사들이 위음성false positive으로 나올 가능성이 많아 지연되는 경우 많다à 높은 사망률
•초기의 영상검사와 진단적 복강내 세척술이 음성으로 나올 수 있으므로 진통제를 요구하는 복부 둔상 환자에서는 최소 48시간의 외과적 관찰이 필요
•의식이 없는 경우, 이학적검사가 매우 제한적이므로 초기 시행한 진단적 복강 내 세척술이 음성이라도 48시간 정도 이후에도 환자의 상태가 나쁜 경우 개복수술 시행
•실제로 소장에 발생한 작은 천공만으로도 진단이 늦어진 경우에는 환자의 상태가 급격히 나빠지게 되므로 고도의 주의를 요함
'Not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틀리기 쉬운 어문 ?한번? : ?한 번? (0) | 2023.01.14 |
---|---|
선물 마진거래의 위험성 (0) | 2023.01.14 |
만약 칼슘이 그렇게 중요한 영양소이고 또 만약 엷은 피부색이 비타민 D의 합성과 칼슘의 흡수를 촉진한다면 왜 흰 피부색이 ‘비정상’인가 ? (0) | 2023.01.13 |
우유에 대한 선호와 기피의 기원 (0) | 2023.01.11 |
중국인들이 우유를 먹지 않는 이유 (0) | 2023.01.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