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분배 정의 (Distributive justice) - Justice + Distribute, 분배적 정의. - 사회적 기여에 비례하는 분배가 정의로운 분배. - 급여(Benefits, 보험금), 부담(Burdens, 보험료) 양면성. - 정의로운 분배의 요건. . 권리 (Rights) : 침해되어서는 안됨. . 공정성 (Fairness) : 공평한 분배. . 도덕적 가치 : 구성원 모두 동일한 도덕적 가치 인정. . 받을자격(Desert) : Ability < Needs. 1). 자유주의 (보수적 성향) - I. Kant, A. smith. 자유주의적 평등에 기초. - 정당하게 가질 권리가 있는 것들만 소유하는 분배. - 어떤 경우에도 개인의 자유가 침해되어서는 안됨. - 분배 정의를 위한 정부개..
1. 행정의 정의 행정이란 정치권력을 배경으로 하며, 공공정책을 결정(policy-making)하며 이를 실현(집행)시키는 활동이다(좁은 의미의 행정) 넓은 의미의 행정: 고도의 합리성을 추구하는 협동적 활동 2. 공행정의 특성(성격) (1) 행정(行政府)의 활동: 행정기관(국가행정기관과 지방행정기관) (2) 공공문제의 해결: 사회문제들 중에서 정부가 해결하여야 할 문제가 공공문제 (3) 정책결정과 정책집행과 관련된 문제 (4) 공익성 추구(공행정과 사행정의 근본적 차이점) (5) 정치권력적 성격과 관리적 성격(합리성)을 동시에 갖고 있음 (6) 독점성 (7) 행정서비스의 계속성(지속성): 국방, 경찰, 기타 사회간접자본(SOC), 복지 등 3. 행정의 실례 (행정기관의 환경과 행정과정의 모형): 행정의..

스탠더드 액세스 리스트와 익스텐디드 액세스 리스트의 차이점 ①스탠더드 액세스 리스트는 출발지 주소(source address)만을 제어하는 반면, 익스텐디드 액세스 리스트는 출발지 주소와 목적지 주소(destination) 모두를 제어할 수 있다. ● ②스탠더드 액세스 리스트는 전체 TCP/IP에 대한 제어만을 하는 반면, 익스탠디드 액세스 리스트는 ip, tcp, udp, icmp 등 특정 프로토콜을 지정해서 제어할 수 있다. ● ③스탠더드 액세스 리스트는 1~99까지의 숫자를 access-list번호로 사용하고, 익스탠디드 액세스 리스트는 100~199까지 숫자를 access-list번호로 사용한다. 익스텐디드 액세스 리스트의 동작 익스텐디드 액세스 리스트 명령 형식 (일반구성모드) router(co..

•Access list = 라우터 문지기 è 접근을 하게 할 것인가? 말 것인가? 미리 정해놓은 리스트 (규칙) • •왜 사용하나? è 보안을 위해 사용 • •방화벽(firewall)을 따로 두는 이유? è access list로 모든 침입자를 완벽하게 차단할 수 없음. 또 관리 자체도 쉽지 않음. •종류 1)Standard access list : 출발지만 참조 2)Extended access list : 출발지, 목적지, 프로토콜, 포트번호 참조 ● è 액세스 리스트에 걸려서 못 들어가는 경우 라우터는 “Host Unreachable” 4가지 규칙 ①Access list는 윗줄부터 하나씩 차례로 수행된다. ● ②Access list의 맨 마지막 line에 “permit any”를 넣지 않을 경우는 d..

오류 제어 통신회선의 순간적인 절단 현상, 통신회선의 잡음과 감쇄, 혼선, 군 지연(Group Delay), 찌그러짐, 펄스성 잡음, 에코 현상, 장치의 기계적/구조적 원인, 전원 중 단 등 전기적 원인 때문에 발생 물리 계층에서는 데이터를 주고받기만 할 뿐 오류 여부는 검사하지 못함(데이 터 링크 계층에서 담당) 오류 무시 그다지 중요하지 않은 데이터를 취급하는 데이터 통신에서 사용 반향(Echo) 검사 루프(Loop) 방식이라고도 함 전송한 데이터와 수신한 데이터를 서로 비교하여 판단하는 방식 컴퓨터와 단말기 사이에 주로 이용 궤환 전송 방식 : 수신 측이 수신한 데이터를 송신 측에서 다시 전송받아 원래 데이터와 비교하는 방식 연속 전송 방식 : 송신 측에서 두 번 이상 연속해서 전송하여 수신 측에서..
흐름 제어(Flow Control) 회선 양쪽 시스템이 처리 속도가 다를 때 데이터양이나 통신속도가 수신 측이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넘어서지 않도록 조정하는 기능 데이터 통신망의 데드락(Deadlock)을 회피하기 위해서 필요 데드락 : 수신 측의 한정된 버퍼가 데이터를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거나 아예 버리는 상황 흐름 제어 방식 : 정지 대기 방식, 슬라이딩 윈도 방식 정지 대기(Stop-and-Wait) 방식 데이터를 전송할 때 송신 측에서는 한번에 프레임 1개만 전송할 수 있으며, 수신 측에서는 다음 프레임을 맞게 전송하였는지 결정하여 송신 측에 통보 흐름 제어 방식 중 가장 간단 프레임을 몇 개의 큰 단위로 전송할 때 효율적 오류를 복구할 때는 정지 대기 방식과 하나의 메커니즘으로 구현 슬라이딩 ..
① 정의 : 사람과 동물의 장내에서 기생하는 대장균 및 대장균과 유사한 성질을 가진 균의 총칭함. ② 노출경로 : 자연생태계에 존재하며, 인간 또는 동물의 장관에서 배출 ③ 인체위해성: 일반적으로 무해한 잡균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병원균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음. ④ 특징 • 사람 및 동물의 장내(腸內)에 기생하는 세균(Escherichia coli형)과 주로 물, 토양 및 넓게 자연계에 분포된 세균(Aerobacter aerogenes형 및 중간형)의 3형을 대장균군이라 총칭함. 이들 3세균군을 각기 정확하게 구별하기는 어렵고, 일반적으로 3세균군을 합해 coli형 균이 라 하여 검사. 물과 식품의 안전도 지표로 함. • 대장균군은 그람 염색음성(染色陰性)의 간균으로 포자를 형성하지 않고 유당을 분해하여..

1. 르네상스 시대의 사회와 문화 ※ 르네상스(Renaissance) 고대의 그리스·로마 문화를 이상으로 하여 이들을 부흥시킴으로써 새 문 화를 창출해 내려는 운동으로 범위는 사상·문학·미술·건축 등 다방면에 걸 친 것이었음 5세기 로마 제국의 몰락과 함께 중세가 시작되었다고 보고 그때부터 르네 상스에 이르기까지의 시기를 야만시대, 인간성이 말살된 시대로 파악하고 고대의 부흥을 통하여 이 야만시대를 극복하려는 것을 특징으로 함 이 운동은 14세기 후반부터 15세기 전반에 걸쳐 이탈리아에서 시작되었 다는 것이 통설이며, 곧 프랑스·독일·영국 등 북유럽 지역에 전파되어 각 각 특색 있는 문화를 형성하였고, 근대 유럽문화 태동의 기반이 되었음 → 인문주의 융성은 고대 문화에 대한 관심을 환기시킴 인간의 신체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