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이민철(李敏哲, 1631 - 1715)

o 충청도 부여에서 인조 9년 섣달에 부제학 이경여의 서자로 태어나다.

o 부친 이경여의 진도 유배기간 중에 선기옥형 혼천의법을 배워 그 이치를 터득 한 이민철은 세종대 이래의 전통적인 혼천시계 장치를 본뜬 수격식 자격루를 스스로 연구 제작하다.

o 인조 26(1648) 18세인 그는 무관 계통의 잡직 종9품으로 벼슬길에 오르다

o 효종 4(1653), 의주부윤 정윤의 후원으로 의주에서 혼천시계를 완성하다.

o 그 당시 서울에서는 효종의 명을 받아 홍처윤에 이어 최유지(김제군수)가 천문시계를 만들어 성공적으로 완성되어 7년 동안 사용하였으나 오차가 누적되어 전면적인 수리 가 필요하게 되었다.

o 현종 5(1664) 3월 이민철이 송이영의 도움을 받아 여러 누국의 천문시계 개조에 전념하게 되다.

o 현종 7년 절충장으로 승진하고, 현종 10(1669)에 송이영과 함께 새로운 선기옥형 제작에 착수하여 8개월만인 1669 10 14, 2개의 천문시계를 완성

o 특징 ; 정밀 시간측정 전용의 혼천의로, 혼천의 중심에 회전하는 지구의가 가설된

천문 시계로 물레바퀴로 움직이는 수격식 시계장치와 타종장치 개량.

->지전설에 대한 확신을 천문기기에 적용한 실례

o 현종 15(1674) 첨지중추부사, 숙종 6(1680) 이주첨사, 영원군수를 지내다가

숙종 12(1686)에 현종 때 만든 시계를 수리하기 위해 다시 서울로 오다.

o 숙종 13(1687)에 태조대에 만든 석각 천상열차분야지도가 세월이 흐르고 전란을 거치며 심하게 닳아 별그림이 흐려져 그 본 모습을 보존하기 위하여

다시 돌에 천상열차분야지도를 새기다. - “천상열차분야지도 숙종 석각본

o 숙종 13 7 15일부터 숙종 14 5 2일까지 대대적인 수리사업을 마무리 하여 창덕궁에 제정각을 지어 혼천의를 설치하다.

o 1715(숙종 41) 4 23일 동지중추부사 이민철이 죽다.

'Not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질 일반세균  (0) 2023.03.17
그리스 구글주소 바로가기 - 그리스구글 우회방법, 우회 주소 바로가기  (0) 2023.03.16
면접 기술  (0) 2023.03.14
문헌조사법  (0) 2023.03.13
내용분석법  (0) 2023.03.12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3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