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Note

통치행위

rkaclfakt 2023. 3. 27. 23:25

• “통치행위”란 고도의 정치성을 띤 국가기관의 행위로서 사법심사의 대상에서 제외되는
행위를 말함.
• 외국의 사례
① 프랑스 – 정부의 국제관계사항, 의회관계행위 등을 통치행위로 인정
② 영국 – “국왕은 제소되지 않는다.”예) 선전포고 및 강화, 국가승인, 사면행위 등
③ 미국 – 외교 및 군사작용 등, Luther v. Boden(1849).
④ 독일 – 수상의 선거, 연방장관의 임명·해임, 국회의 해산, 조약의 비준
⑤ 일본 – 미일안보조약의 체결[砂川사건(1959년, 미일안전보장조약이 일본국헌법 제9조에
위배되지 않는가의. 문제에 대한 최고재판소의 판결)], 중의원해산[苫米地사건(1960년, 중의원
해산처분에 대하여 苫米地 의. 원이 동 해산처분은 무효라고 하여 세비를 청구한 사건에 대한
최고재판소의 판결)] 등
• 통치행위의 인정 여부 – 부정설과 긍정설이 대립되어 있지만, 법치주의가 실시되고
행정소송에서의 개괄주의가 인정되는 이상 모든 행정작용은 사법심사의 대상이
되어야 함. 그러나 형식 또는 절차에 대한 심사는 가능하지만, 그 내용을 심사하기는
어려움.
• 우리나라에서의 통치행위의 예 - 계엄선포, 군사시설보호구역의 설정 및 변경,
대통령의 사면권, 대북송금사건, 금융실명제에 관한 대통령의 긴급재정·경제명령,
대통령의 사면권, 대통령의 이라크파병결정, 신행정수도건설이나 수도이전의 결정 등

'Not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정상 입법의 필요성  (0) 2023.03.29
행정의 특징  (0) 2023.03.28
조직의 개념, 성격  (0) 2023.03.26
현대 기업조직의 역할  (0) 2023.03.25
경영의 개념  (0) 2023.03.25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