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심박수 : 심혈관계의 부하를 보여주는 생리적 반응 / 1분당 좌심실이 수축하는 횟수
<안정 시 심박수>
- 분당 60~80회
- 운동 전 심박수 : 안정 시 보다 높다 why? *예상 반응 때문에
*예상 반응 : 노르에피네프린 +에피네프린 호르몬에 의해 일어남


<운동 중 심박수>
- 운동 강도의 증가와 비례 / 최고 운동 강도에 도달할 때 까지 증가
- 최대 심박수(HR max) : 탈진상태에 도달했을 때 얻어지는 심박수의 최대치 *HR max 추정식 : 1. 220 - 나이
2. . 208 - [ 0.7x나이]
- 항정 상태 심박수 : 초기에 빠르게 증가하던 심박수가 일정상태에 머물게 되는 정체기
.

1회 박출량 ( SV )
1회 박출량 : 1회의 심장 박동으로 박출되는 혈액의 양
결정요인 : 전부하(확장말기용량) / 후부하(수축말기용량)

심박출량

- 심박출량 : 1회 박출량 x 심박수
- 운동시 1회 박출량과 심박수의 증가에 따라 비단련자의 경우 20~25L 단련자의 경우 40L 까지 증가한다.
- 심박출량이 높다 = 최대유산소능력이 높다

운동에 대한 통합적인 심장 반응
심박수 / 1회박출량 / 심박출량의 변화

혈압
- 혈압상승 후 항정상태도달
(수축기 혈압: 점차 감소 / 확장기 혈압:일정하게 유지) 총 말초 저항 감소
- 교감신경 파괴: 동적 운동을 할 때 혈관 수축이 일어남 근육의 둔화

혈류
- 운동 중 혈액의 재분배: 안정 시 심박출량의 15~20% 근육으로 감/ 고강도 운동시 80~85%혈액을 받음 =내장 순환의 혈류를 줄임
- 심혈관계 유동: 장시간유산소운동 OR 고온환경에서 유산소운동 을 하면 1회 박출량 심박수 혈압

혈액
산소 함량
- 혈액에 녹아 있는 산소의 총량,
물리적 용해에 의한 산소+ 화학적 용해에 의한 산소 = 산소 함량 동맥혈의 산소 함량은19vol%로 정맥혈은 더 낮다.


혈장 용량
- 운동을 시작하면 혈액내의 혈장이
간질 액 공간으로 흘러 혈장량이 감소
모세혈관 밖으로의 액체 움직임 은 혈압 증가에 의한 모세혈관내 정수압 과 알부민에 의한 교질 삼투압에 의해 조절

동적인 운동 중에 폐환기
가벼운 운동/중등도 운동 시
환기량은 항정 상태에 도달해 더 이상 증가하지 않지만 강한운동 시 약간 증가

운동 중의 비 정규성 호흡
호흡곤란: 수준 강한 운동시 일어나는 경우
원인: 혈액의 이산화탄소와 수소에 대한 호흡 조절을 못하기 때문

과환기: 호흡계에 이상이 있을 때 환기량의 증가로 과한 호흡 을 하는 것
이산화탄소와 수소 이온에 민감한 호흡계조절의 민감도를 보여줌
현기증이나 의식을 잃는 증상

발살바 기법: 무거운 부하를 들어올릴 때 와 같이 특정 형태의 운동에서 실행되는 위험한 호흡 방법
오래지속되면 심장의 혈액량을 감소시켜서 위험할 수 있어서 피해야 함

환기와 에너지 대사
산소 환기당량 : 주어진 시간 동안 조직에
의해서 소비된 산소와 환기된 공기의 양 사이의 비
환기 역치: 운동강도가 증가하면 어느 시점 부터 산소섭취량과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벗어나 급상승하는 것

수행능력에 대한 호흡 기능의 제한
최대 환기량: 폐 기능을 판단하는 방법의 하나
- 최대한의 깊은 호흡을 가능한 한 빨리 했을 때의 환기량을 1분간의 수치로 환산하여 나타낸 것이다.
- 최대 환기량은 일반적으로 신체의 크기에 비례

운동 유발성 동맥 저산소증: 일반 선수와 달리 강도 높은 운동이 단련된 엘리트 선수가 폐에서 가스교환 요구 량이 너무 커서 동맥혈 내의 산소 분압이 떨어지고 동맥의 산소포화도가 떨어지는 병

산 염기 균형의 호흡성 조절
산: 수소 이온 방출
혈액과 근육 내에는 염기물질을 가지고 있음 (완충역할)
안정 시 조직pH는 근육7.1 ~ 동맥혈 7.4
체내의 세포 내액과 외액의 pH는 좁은 범위 내에 유지
혈액 내의 화학적 완충제
폐환기
신장 기능

산 염기 평형의 호흡성 조절
근 섬유와 신장관 내의 수소이온은 인삼염에 의해 주로 완충
화학적 완충제와 호흡계는 운동의 영향으로 인한 산성증을 신속히 중화시키는 일시적인 방법
⇒ 지속적 완충여력 유지 : 축적된 수소 이온이 신장과 배뇨를 통해서 몸 밖으로 배출
활동성 회복: 안정 시 수준으로 되돌아오는 회복과정은 가벼운 강도의 운동을 계속함으로써 촉진 됨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거리 통신망 (LAN, 토폴로지)  (0) 2023.04.10
이동통신 – 이동통신의 분류  (0) 2023.04.09
운동 훈련의 원리  (0) 2023.04.07
중세의 관광  (0) 2023.04.06
한국농업의 특수성  (0) 2023.03.08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