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심박수 : 심혈관계의 부하를 보여주는 생리적 반응 / 1분당 좌심실이 수축하는 횟수
<안정 시 심박수>
- 분당 60~80회
- 운동 전 심박수 : 안정 시 보다 높다 why? *예상 반응 때문에
*예상 반응 : 노르에피네프린 +에피네프린 호르몬에 의해 일어남
<운동 중 심박수>
- 운동 강도의 증가와 비례 / 최고 운동 강도에 도달할 때 까지 증가
- 최대 심박수(HR max) : 탈진상태에 도달했을 때 얻어지는 심박수의 최대치 *HR max 추정식 : 1. 220 - 나이
2. . 208 - [ 0.7x나이]
- 항정 상태 심박수 : 초기에 빠르게 증가하던 심박수가 일정상태에 머물게 되는 정체기
.
1회 박출량 ( SV )
1회 박출량 : 1회의 심장 박동으로 박출되는 혈액의 양
결정요인 : 전부하(확장말기용량) / 후부하(수축말기용량)

심박출량

- 심박출량 : 1회 박출량 x 심박수
- 운동시 1회 박출량과 심박수의 증가에 따라 비단련자의 경우 20~25L 단련자의 경우 40L 까지 증가한다.
- 심박출량이 높다 = 최대유산소능력이 높다
운동에 대한 통합적인 심장 반응
심박수 / 1회박출량 / 심박출량의 변화

혈압
- 혈압상승 후 항정상태도달
(수축기 혈압: 점차 감소 / 확장기 혈압:일정하게 유지) 총 말초 저항 감소
- 교감신경 파괴: 동적 운동을 할 때 혈관 수축이 일어남 근육의 둔화
혈류
- 운동 중 혈액의 재분배: 안정 시 심박출량의 15~20% 근육으로 감/ 고강도 운동시 80~85%혈액을 받음 =내장 순환의 혈류를 줄임
- 심혈관계 유동: 장시간유산소운동 OR 고온환경에서 유산소운동 을 하면 1회 박출량 심박수 혈압
혈액
산소 함량
- 혈액에 녹아 있는 산소의 총량,
물리적 용해에 의한 산소+ 화학적 용해에 의한 산소 = 산소 함량 동맥혈의 산소 함량은19vol%로 정맥혈은 더 낮다.
혈장 용량
- 운동을 시작하면 혈액내의 혈장이
간질 액 공간으로 흘러 혈장량이 감소
모세혈관 밖으로의 액체 움직임 은 혈압 증가에 의한 모세혈관내 정수압 과 알부민에 의한 교질 삼투압에 의해 조절
동적인 운동 중에 폐환기
가벼운 운동/중등도 운동 시
환기량은 항정 상태에 도달해 더 이상 증가하지 않지만 강한운동 시 약간 증가
운동 중의 비 정규성 호흡
호흡곤란: 수준 강한 운동시 일어나는 경우
원인: 혈액의 이산화탄소와 수소에 대한 호흡 조절을 못하기 때문
과환기: 호흡계에 이상이 있을 때 환기량의 증가로 과한 호흡 을 하는 것
이산화탄소와 수소 이온에 민감한 호흡계조절의 민감도를 보여줌
현기증이나 의식을 잃는 증상
발살바 기법: 무거운 부하를 들어올릴 때 와 같이 특정 형태의 운동에서 실행되는 위험한 호흡 방법
오래지속되면 심장의 혈액량을 감소시켜서 위험할 수 있어서 피해야 함
환기와 에너지 대사
산소 환기당량 : 주어진 시간 동안 조직에
의해서 소비된 산소와 환기된 공기의 양 사이의 비
환기 역치: 운동강도가 증가하면 어느 시점 부터 산소섭취량과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벗어나 급상승하는 것
수행능력에 대한 호흡 기능의 제한
최대 환기량: 폐 기능을 판단하는 방법의 하나
- 최대한의 깊은 호흡을 가능한 한 빨리 했을 때의 환기량을 1분간의 수치로 환산하여 나타낸 것이다.
- 최대 환기량은 일반적으로 신체의 크기에 비례
운동 유발성 동맥 저산소증: 일반 선수와 달리 강도 높은 운동이 단련된 엘리트 선수가 폐에서 가스교환 요구 량이 너무 커서 동맥혈 내의 산소 분압이 떨어지고 동맥의 산소포화도가 떨어지는 병
산 염기 균형의 호흡성 조절
산: 수소 이온 방출
혈액과 근육 내에는 염기물질을 가지고 있음 (완충역할)
안정 시 조직pH는 근육7.1 ~ 동맥혈 7.4
체내의 세포 내액과 외액의 pH는 좁은 범위 내에 유지
혈액 내의 화학적 완충제
폐환기
신장 기능
산 염기 평형의 호흡성 조절
근 섬유와 신장관 내의 수소이온은 인삼염에 의해 주로 완충
화학적 완충제와 호흡계는 운동의 영향으로 인한 산성증을 신속히 중화시키는 일시적인 방법
⇒ 지속적 완충여력 유지 : 축적된 수소 이온이 신장과 배뇨를 통해서 몸 밖으로 배출
활동성 회복: 안정 시 수준으로 되돌아오는 회복과정은 가벼운 강도의 운동을 계속함으로써 촉진 됨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거리 통신망 (LAN, 토폴로지) (0) | 2023.04.10 |
---|---|
이동통신 – 이동통신의 분류 (0) | 2023.04.09 |
운동 훈련의 원리 (0) | 2023.04.07 |
중세의 관광 (0) | 2023.04.06 |
한국농업의 특수성 (0) | 2023.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