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사회구조와 여성
1.중국
(1)남아선호사상
: ‘生育計劃’을 펼치고 각종 우대정책을 펼치지만,아들을 낳기 위한 출산전쟁은 여전하다.
;먼 외지로 나가 아들을 낳아오는 경우,첫아이가 발육불량이라는 의사증명서를 받아 두 번째 아이를 낳을 수 있는 준생증을 얻는다.
;그도 아니면 아들을 낳기 위한 ‘산아유격대’에 참가,전국을 떠돈다.
(2)姓 : 과거에는 아버지 성만 따랐으나 요즘에는 아버지나 어머니 양자 중 아무쪽이나 따른다.
;남매인 경우,아들은 아버지,딸은 어머니를 따르기도 한다.
; 여자는 결혼 후 남편의 성을 자기 성명 앞에 남편의 성을 덧붙인다. 지금도 홍콩이나 마카오는 이 풍습을 그대로 따르고 있다.
2.일본
(1)출산률 저하
: 1980년 현재 1.75명. 1990년 1.43명.
; 원인은 여성들의 출산기피. 남녀 결혼 연령 상승. 육아 사회제도 불충분.‘Sexless’ 풍조 확산.
; 사회적 영향 중 생산인구 감소가 큰 문제.
; 이에 대한 대책은 1992년,육아를 위하여 정규근로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법률 제정.
;1995년 현재,육아를 위해 휴직한 근로자에게 월급 25를 「근로보험기금」을 통해 지급.
(2)노령화
:1996년 현재 특별간호 필요 노인 200만 육박.
; 노인간호 직업인 증가.
;1995년,간호를 위한 휴직을 보장하는 아동보호법 개정,1999년부터 완전한 시행 예정.
3.한국
(1)여성관
가.陰陽論에 의한 여성관
나.수동적인 자세를 강요받는 여성
;감정표현 억제
;“정든 님이 오시는데 인사를 못해”
다.한국인의 의식에는 하늘=남자,땅=여자의 도식 뿌리깊게 박혀있어
;(예):단군/웅녀,혁거세/알영,해모수,유화,수로/허비)
;‘능동/피동’,‘공여자/수혜자’로 해석됨
라.경남 울주 천전리의 암각화
;女陰 상징 숭배
마.大地母神에 대한 경배
(예)대전 괴정동 출토 방패형 청동기:“밭 가는 남자”
바.“아버님전 뼈를 받고 어머님전 살을 받아
;‘영생/임시’,‘정화/부정’
사.마을굿이나 고사
;임산부는 부정으로 간주됨(죽음,피와 더불어)
아.팔루스(phallus) 중심
(예)봉황,호랑이,용/참새,고양이,뱀(여우)
;지배/종속, 우/열
자.“여자 팔자 뒤웅박 팔자”
;피동성과 미련함
차.전통 한방서에서의 태아감별:男兒 감별;凸;왜곡;불거짐
;여(女)는 불구 - 태어남 자체가 위반
카.혼례의식
;경남 하동지역의 ‘合水’의식;倂呑(압도적 삼켜짐)
;‘出嫁外人’ 되기:의탁,기생,종속로서의 ‘시집-‘살이’’
;孝와 烈의 강요:남성은 아내를 ‘御’하고 아내는 남성을 ‘事’함
;북한에 남은 잔재
타.여성의 존재
;半앉음새:어중간함
;여성의 半실명:“도현어멈”,“진주 이씨”
(2)여성 윤리
가.<이규태>
“남성들에 의해 무조건 굴종하고 갇혀지내기를 강요받으며 채이고 닦이고 짓눌리면서도 굽히지않고 새로운 자질을 체질을 유전질로 선승시킨 고난과 승리의 여성사”
나.허균의 누이 <허난설헌>의 한탄
“어째서 하필 대국이 아닌 조선에 태어났으며, 조선에서도 여자로 태어났으며, 여자 중에도 김성일의 아내란 말인가!”
다.여성 차별 역사
;고려 초기까지만 해도 ‘生口’로 불린 여성들
;조선조의 가부장제:농업집약적 생산양식과 친족 위에 기초한 국가적 통치체제
라.三從之道와 七去之惡(不事舅姑,無子,竊盜,淫帙,妬忌,惡病,多言(말썽많음))
마.內訓
;며느리와 아내,어머니의 미덕 강조
;‘씨받이’와 ‘열녀수절’
바.<송시열>의 「戒女書」
“여자의 일백년 仰望이 오직 지아비라,여자가 지아비 섬기는 중에 妬忌 아니함이 으뜸 행실이니 일 백 명의 첩을 두어도 본 체 만 체 하고 첩을 아무리 사랑하여도 성내지 말고 공경하여라.”
사.<홍만선>의 「산림경제」(18세기)
“언문 한글을 익히게 하여 三綱行實을 가르치고 이로써 여자가 옳게 사는 길임을 알리고 가을과 겨울에 물레를 돌리고 베를 짜 입도록 가르치고 열살에 이르면 안방에 두어 바깥나들이를 못하게 하고 또 바깥손님의 눈에 띄지 않도록 숨겨두어야 한다. 가까운 친척일지라도 사나이와는 같은 방에 있지 못하게 하고 제사를 지낼 때는 병풍으로 남자들 시야를 가린 채 神位를 향해 四拜하도록 하라.”
(3)여성의 지위
가.‘자궁가족’(<Wolf>,1972)과 모권,안채 문화(<조혜정>)
;糟糠之妻의 자부심
;아들만이 여성의 생전,사후 행복 기약
;(참조)18세기 불란서 신부 <달레 Dallet>:“한국인들은 사내자식狂이다.”
나.1900년대 ‘신여성’ 출현
;1930년대 ‘新復古主義’(‘良妻賢母’;일본의 ‘전문주부’)
다.개화기와 1960년대 산업기 여성의 역할
;생존과 가계유지, 가족주의의 이중부담
;그럼에도 불구하고 흔들리지 않는 남성우월주의
;일시적으로는 아버지가 부재하지만 언젠가는 채워질 아버지의 자리를 위해 헌신하는 어머니의 모습 부각
라.전통적인 신분의식과 가부장적 가족주의 + 현모양처 이데올로기
;도구적인 남편과 정서적인 아내의 상
마.산업사회에서의 가부장제의 유지
;국가 기구나 공식적인 조직 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일상생활에서는 생리적인 性差와 ‘남성다움’,‘여성다움’의 강조
바.산업사회에서의 여성의 자기확인
;생산이 공적 영역에서 이루어짐에 따라
;임금노동이 제도적으로 보장되고
;이와 더불어 개인의 인격이 존중되는 이념과 평등원리의 확산
;다만 사회적 상호작용의 원리가 뿌리를 내릴지’가 문제
사.특히 저임금 여성근로자 문제
;1983년의 경우 100:45.2로 여성이 불리해
아.여성근로자의 희망
;비취업 전문주부의 삶 원해
;공식적 교육, 치부, 결혼 희망
자.빈농 가정의 재산 증식에 기여한 미혼딸의 역할
차.국가나 사회가 맡았어야 할 사회복지
카.유사시 산업예비군
타.1980년대 이후 핵가족 사회
;전업주부들의 사회적 지위 획득
;가족구성원의 건강과 자녀교육,정서적 역할
;(반면에) 원거리 조정을 통한 욕구충족(‘도구적 권한’에 그쳐)
(4)여성의 지위 변화
가.‘빈 둥지 증후군’
;자아정체성 상실로 인한 부작용
:춤바람,탈선계모임 등
나.5,60대의 ‘황혼이혼’
;일본의 ‘정년이혼’,‘은퇴이혼’ 영향
;2007년 ‘입학이혼’
다.<이일선>(1985)
“자신의 생계와 전인생을 쥐고있는 남련에 대한 헌신과 봉사,때로는 강요된 애정과 존경의 표현도 마다하지 않아야 하는 초라한 가내노예”
라.자녀교육에 대한 열성적 관심
;자신의 대리만족
;사회계층 간의 격차 심화
;‘남편 소외’
;‘교육열 과열’
;‘경쟁적 사회풍토’
마.보이 마니아
;性比의 증가;1994년 현재 100대 115.4명
;극단적인 가족 중심주의의 전통 재확인
;현대시민의 소시민화 및 탈정치화
바.남편은 혼외자녀 입적시킬 수 있음
;부인은 안됨.
사.남녀의 공동노력에 의한 인간해방
아.가족 구성원 누구도 집단의 복리라는 이름으로 희생되지 말아야 하며
;어머니는 인간으로서의 창조적 주체성이 강조되어야
동아시아 문화(의식주)
의.식.주 * 衣.食.住(이 순서도 문제)는 사회적 계급과 지역적 사정,제사 및 절기 등에 따라 시시각각 변하는 문화다. * 중국에서의 문명이란 왕조변화와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 ;문명은 소수인들�
kktstory.tistory.com
동아시아 민간신앙
민간신앙 1.이론 (1)민간신앙의 정의:기층민에 의하여 전승.신앙되어온 자연발생적 종교. ;특정교조가 존재하지 않고 평범한 일상생활을 하는 수다한 민중 사이에서 발생,전파됨. ;지역사회 내의
kktstory.tistory.com
동아시아 놀이문화와 축제
놀이문화와 축제 1.의미:본질적으로는 “정신문화” (1)명절의 의미 부각;우주의 에너지 보충 가.漢族의 세시민속:원소절의 등불구경,2월 12일의 꽃시장,청명절의 산보,단오절의 용선놀이,7월 7일
kktstory.tistory.com
동아시아 사회구조와 여성
사회구조와 여성 1.중국 (1)남아선호사상 : ‘生育計劃’을 펼치고 각종 우대정책을 펼치지만,아들을 낳기 위한 출산전쟁은 여전하다. ;먼 외지로 나가 아들을 낳아오는 경우,첫아이가 발육불량�
kktstory.tistory.com
동아시아의 경제교류
동아시아의 경제교류 1.상호교역 (1)세계자본주의의 블록화 가.일본의 대한(對韓), 대중(對中) 교류 확대 나.중국의 생산력 증대(1차산품 수출)와 대외적 경제교류 확대 다.한국의 미,일 의존 경제
kktstory.tistory.com
일본 결혼식의 형태, 피로연, 축의금
■ 결혼식의 역사 고대 일본의 혼인의 형식은, 신랑이 신부의 집에 들어가 사는 것이 기본적인 것이었다. 이 형식은 귀족사회를 중심으로 전통적으로 행해졌는데, 카마쿠라鎌倉시대에 접어들면
itstory07.tistory.com
일본 발렌타인데이, 화이트데이
■ 발렌타인과 발렌타인데이 발렌타인은, 3세기경의 로마사제로서 당시 병사들의 사기가 저하된다는 이유로 결혼 금지령을 내린 황제의 명에도 불구하고, 연인들을 남몰래 감추어주고 결혼을 �
itstory07.tistory.com
일본의 영화(감독,역사)
일본의 영화 영화는 20세기에 들어와 커다란 발전을 이룬 표현수단으로, 오늘날은 예술이라 불릴 만큼의 수준에 도달하였다.(그림, 조각, 음악, 문학, 무용, 연극, 건축에 이어 제 8의 예술이라 불
itstory07.tistory.com
일본의 애니메이션
1. 애니메이션의 역사 ■ 애니메이션의 기원 애니메이션의 기원은 영화의 발명 이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17세기에 독일의 수도사 A. 키르허가 환등기를 발명하였다. 종교 포교의 도구로 만들어
itstory07.tistory.com
일본 문화 마츠리祭
마츠리祭 1. 마츠리의 개요 ■ 마츠리의 기원 ‣ 마츠리의 어원 마츠리란 말은 일본어 동사 마츠루祀る의 명사형으로, 본래는 신을 숭상하는 일, 또는 그 의식을 지칭하는 말로, 그런 의미의 「��
jtstory.tistory.com
일본 게이샤
1. 게이샤의 정의 ■ 명칭 게이샤芸者란, 무용이나 음악, 악기 등으로 연회의 흥을 돋우고, 손님을 접대하는 여성. 술자리에서 각종 예능을 피로하고, 좌석을 이끌어가는 여성을 말하는데, 에도��
jtstory.tistory.com
'Not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 보건의 역사 (0) | 2022.09.02 |
---|---|
동아시아의 경제교류 (0) | 2022.08.30 |
동아시아 놀이문화와 축제 (0) | 2022.08.30 |
매몰비용(Sunk Costs) (0) | 2022.08.29 |
경제학자와 회계사의 차이 (0) | 2022.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