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고대 : 보건 태동기(기원전〜A.D 500년)
§ 질병을 신을 노하게 하거나 악령이 씌워져서 질병이 발생한다고 인식
§ 질병에 대한 치료로 주술, 제사, 제물을 바치는 주술사의 의식에 의존하던 시기
§ 이집트 - 위생학이 발달하였고 질병과 치료에 관한 기록이 전해지고 있음
§ 인도 - 우물, 하수, 쓰레기 처리장 등의 위생시설 발달
§ 그리스
Ø 히포크라테스(Hippocrates)는 질병을 신의 저주나 죄의 결과가 아닌 기후와 오염된 물 등의 외부환경에서 비롯된다고 설명, 인체의 혈액,점액,황담즙, 흑담즙이 불균형하게 분비되어 질병이 야기된다는 '4체액설' 주장
§ 로마
Ø 갈레누스(Galenus A.)는 생활환경이 더럽혀져서 생기는 환경적 인자인 장기(miasma), 다시 말하면 나쁜 공기가 병을 일으킨다는 '장기설(miasma theory)'을 주장. 이 학설은 17세기까지 지배적이었다.
■ 중세: 보건의 암흑기(A.D 500~1500년)
§ 보건역사의 암흑기
§ 세상을 이성적으로 접근하기보다는 신을 중심으로 해석
§ 종교적인 사상에 의해 질병을 기도와 회개를 통해 제거하고자 함
§ 사망률도 높았으며,각종 전염병들이 창궐하던 시기
§ 14세기, 흑사병이 유럽을 휩쓸어 전체 인구 중 1/4에 달하는 사람들이 사망
§ 전염병에 대응하기 위해 환자를 격리시키고 오염된 배는 입항을 금지하는 등 현대의 전염병 대응방법과 유사한 조치를 취하였는데 이는 후에 검역의 시초가 됨
■ 르네상스: 보건의 부흥기(1600~1750년)
§ 중세 봉건 사회가 붕괴되고, 근대적인 과학기술과 보건의 사상이 뿌리 내리기 시작 § 과학기술의 발전과 사회적인 인식수준의 발달 덕분에 의학과 보건학도 발전 § 과학기술의 발전은 해부학과 생리학의 기초가 됨
§ '직접적인' 보건 사상이 싹 트기 시작하여 근대 보건의 기틀을 확립
§ 레벤후크(Leeuwenhoek) - 현미경 발명, 처음으로 세균을 관찰하여 질병의 원인을 과학적으로 밝힘
§ 라마치니(Ramazzini, 이탈리아) - '노동자 질병론(De Morbis Artificum Diatriba)'을 발표하여 직업형태의 변화에 따른 노동자들의 건강문제 다룸
■ 근대: 보건의 혁명기(1750~19세기 말)
§ 산업혁명으로 급속한 산업화를 이룸
§ 독일의 프랭크(J.P. Frank) – '전의사경찰체계(Medizinishe Polizei)' 에서 국민의 건강은 국가의 책임이라 주장
§ 제너(Jenner E.) - 1798년 우두접종법을 개발, 19세기 전 유럽에 전파
§ 스노우(Snow J.) - 콜레라 대규모 발생을 관찰하여 원인이 템즈강의 오염된 물 때문이라는 것을 밝힘. 강 상류와 하류의 물을 마신 지역을 관찰, 분석하여 1855년 '콜레라의 전염방법에 대해’보고서 저술.
§ 채드윅(Chadwick E.) - 공공보건에서의 정부의 역할과 책임을 수립하는데 기여. 런던의 노동자계층을 중심으로 크게 유행한 열병을 조사하여 'Fever Report'를 정부에 보고하였고 1842년,전염병에 대처하기 위한 보고서 인 '노동자 계증의 위생 상태 보고서'는 정부 차원에서의 공공보건의 뼈대가 되었다. 채드윅의 보고서에 힘입어 영국에서는 1848년에 세계 최초로 보건법(Public Health Act)이 제정되고 보건국(General Board of Health)이 설치
§ 19세기 후반, 코흐(Koch R.) 결핵균,콜레라균을 발견, 파스퇴르(Pasteur L.)
백신을 개발. 이 시기에 세균이 특정 전염병을 발생시킨다는 연구결과를 통해 세균학,면역학이 확립
■ 오늘날의 보건(19세기 말 이후)
§ 19세기 말 이후 보건의 발전은 미국과 영국이 이끔
§ 미국
Ø 주 단위와 지역단위의 보건을 강조
Ø 대공황 이후 보건 단위가 연방 정부 차원으로 확장
§ 영국
Ø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요람에서 무덤까지'를 슬로건으로 사회보장제도를 갖춤
§ 보건을 위한 범세계적인 움직임
Ø 1948년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발족
Ø 1977년 'Health for all by the year 2000'을 목표로 보건의료 확립 추구
Ø 1972년엔 스톡홀름에서 'The only one earth'를 슬로건으로 인간환경선언
Ø 1973년에는 국제환경기구설립
Ø 1992년 '리우환경선언' 선포
'Not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생물의 특징 (병원성 미생물의 증가 및 특성) (0) | 2022.09.02 |
---|---|
생사학(生死學)이란? (0) | 2022.09.02 |
동아시아의 경제교류 (0) | 2022.08.30 |
동아시아 사회구조와 여성 (0) | 2022.08.30 |
동아시아 놀이문화와 축제 (0) | 2022.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