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행정의 정의 행정이란 정치권력을 배경으로 하며, 공공정책을 결정(policy-making)하며 이를 실현(집행)시키는 활동이다(좁은 의미의 행정) 넓은 의미의 행정: 고도의 합리성을 추구하는 협동적 활동 2. 공행정의 특성(성격) (1) 행정(行政府)의 활동: 행정기관(국가행정기관과 지방행정기관) (2) 공공문제의 해결: 사회문제들 중에서 정부가 해결하여야 할 문제가 공공문제 (3) 정책결정과 정책집행과 관련된 문제 (4) 공익성 추구(공행정과 사행정의 근본적 차이점) (5) 정치권력적 성격과 관리적 성격(합리성)을 동시에 갖고 있음 (6) 독점성 (7) 행정서비스의 계속성(지속성): 국방, 경찰, 기타 사회간접자본(SOC), 복지 등 3. 행정의 실례 (행정기관의 환경과 행정과정의 모형): 행정의..

스탠더드 액세스 리스트와 익스텐디드 액세스 리스트의 차이점 ①스탠더드 액세스 리스트는 출발지 주소(source address)만을 제어하는 반면, 익스텐디드 액세스 리스트는 출발지 주소와 목적지 주소(destination) 모두를 제어할 수 있다. ● ②스탠더드 액세스 리스트는 전체 TCP/IP에 대한 제어만을 하는 반면, 익스탠디드 액세스 리스트는 ip, tcp, udp, icmp 등 특정 프로토콜을 지정해서 제어할 수 있다. ● ③스탠더드 액세스 리스트는 1~99까지의 숫자를 access-list번호로 사용하고, 익스탠디드 액세스 리스트는 100~199까지 숫자를 access-list번호로 사용한다. 익스텐디드 액세스 리스트의 동작 익스텐디드 액세스 리스트 명령 형식 (일반구성모드) router(co..

•Access list = 라우터 문지기 è 접근을 하게 할 것인가? 말 것인가? 미리 정해놓은 리스트 (규칙) • •왜 사용하나? è 보안을 위해 사용 • •방화벽(firewall)을 따로 두는 이유? è access list로 모든 침입자를 완벽하게 차단할 수 없음. 또 관리 자체도 쉽지 않음. •종류 1)Standard access list : 출발지만 참조 2)Extended access list : 출발지, 목적지, 프로토콜, 포트번호 참조 ● è 액세스 리스트에 걸려서 못 들어가는 경우 라우터는 “Host Unreachable” 4가지 규칙 ①Access list는 윗줄부터 하나씩 차례로 수행된다. ● ②Access list의 맨 마지막 line에 “permit any”를 넣지 않을 경우는 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