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류 제어 통신회선의 순간적인 절단 현상, 통신회선의 잡음과 감쇄, 혼선, 군 지연(Group Delay), 찌그러짐, 펄스성 잡음, 에코 현상, 장치의 기계적/구조적 원인, 전원 중 단 등 전기적 원인 때문에 발생 물리 계층에서는 데이터를 주고받기만 할 뿐 오류 여부는 검사하지 못함(데이 터 링크 계층에서 담당) 오류 무시 그다지 중요하지 않은 데이터를 취급하는 데이터 통신에서 사용 반향(Echo) 검사 루프(Loop) 방식이라고도 함 전송한 데이터와 수신한 데이터를 서로 비교하여 판단하는 방식 컴퓨터와 단말기 사이에 주로 이용 궤환 전송 방식 : 수신 측이 수신한 데이터를 송신 측에서 다시 전송받아 원래 데이터와 비교하는 방식 연속 전송 방식 : 송신 측에서 두 번 이상 연속해서 전송하여 수신 측에서..
흐름 제어(Flow Control) 회선 양쪽 시스템이 처리 속도가 다를 때 데이터양이나 통신속도가 수신 측이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넘어서지 않도록 조정하는 기능 데이터 통신망의 데드락(Deadlock)을 회피하기 위해서 필요 데드락 : 수신 측의 한정된 버퍼가 데이터를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거나 아예 버리는 상황 흐름 제어 방식 : 정지 대기 방식, 슬라이딩 윈도 방식 정지 대기(Stop-and-Wait) 방식 데이터를 전송할 때 송신 측에서는 한번에 프레임 1개만 전송할 수 있으며, 수신 측에서는 다음 프레임을 맞게 전송하였는지 결정하여 송신 측에 통보 흐름 제어 방식 중 가장 간단 프레임을 몇 개의 큰 단위로 전송할 때 효율적 오류를 복구할 때는 정지 대기 방식과 하나의 메커니즘으로 구현 슬라이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