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It

스포츠 문화의이해

rkaclfakt 2022. 8. 18. 16:48

스포츠 문화의이해

1.문화의 개념

개념 정립
문화(Culture)는 간략히 인간에 의해 이룩된 정신적, 예술적 표현의 모 든 것, 언어, 종교, 신앙, 관습, 규범, 제도, 기술, 예술 및 의례 등을 포 함하며, 사회 구성원에 의해 공유되는 지식, 신념, 행위

어원
문화 용어는 독일어 ‘Kultur’나 영어와 프랑스어 ‘culture’ 역어(譯語) 문화란 말은 어원적으로 ‘Kultur’나 ‘culture’는 라틴어 동사 ‘colo’(경 작하다, 가동하다, 완성하다)에서 유래하였고, ‘경작’ ‘재배’ ‘배양’ ‘교 양’ 및 ‘수양’ 등 다양한 의미를 포함


문화란 ‘자연 상태의 사물에 인간의 작용을 가하여 그것을 변화시키거 나 새롭게 창조해 낸 것을 의미하였다’고 이해됨


2. 문화의이해

2. 문화의 속성

문화는 학문적으로도 문명과는 별개의 개념이며, 다음과 같은 속성으 로 인해 생성되고 발전된다.

① 공유성
문화는 사회 구성원들에 의해 공유(Share)된다. 문화는 사회의 구성원 들 사이에는 행동이나 사고방식에서 상이점이 있는 반면 공통점이 반 듯이 있다. 이러한 공통점을 통해 비로소 공동체로서의 사회가 형성되 어지며, 그 사회를 유지하는 문화가 형성되게 된다. 결국 사회구성원들 에 의해서 공유되지 문화는 존재할 수가 없다.

② 학습성
문화는 학습(Learned)된다. 인간본능에서 나오는 공유성(수면, 식사, 피부색, 외모)만으로 문화가 형성될 수 없다. 인간은 특정한 문화를 갖 고 태어나는 것이 아니며, 문화를 학습(따라 배우기)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니고 태어난다. 다시 말해 문화의 학습과정은 명확하게 어디까지나 비유전적인 수단과 절차에 의해 이루어진다. 문화 형성은 구체적으로 사회화(Socialization) 과정에 의해 결정된다.

③ 축적성
문화는 지속적으로 축적(Accumulated)된다. 인간행동 대부분은 사회 화과정에서 학습된 것이지만, 학습이 인간만의 고유한 속성은 아니다. 정도 차이는 있으나 인간 외의 동물들에게도 일부 학습행동은 발견되 고 있으나 문화습득을 위한 인간의 학습행동과 생존유지를 위한 동물 의 학습행동은 본질적 차이가 있다. 동물은 단순히 현장 목격에 의한 수동적인 따라 하기에 불과하지만, 인간은 상징적인 언어나 전달수단 (문자나 기호)에 의해 지속적으로 축적된 문화를 계승한다.

④ 상호관계성
문화는 상호관계로서 유기적 전체(Whole)를 이루고 있다. 문화는 인 간생활양식의 총체로서 수많은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런 구성요 소는 무작위, 고립적으로 상호 무관하게 난립되는 것이 아니라, 수많은 부속품으로 구성된 엔진과 같이, 서로 불가분의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 면서 의존적으로 체계(System)로 존재한다. 이런 변화는 그것만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상호관계 유지하고 있다.

⑤ 변화
문화는 변화(Variableness)한다. 시간적 의미에서 정체적(停滯的)인 것 이 아니라 점진적 변화를 지속한다. 문화인류학자들은 문화 성분을 음 악의 연주곡목에 비유해 ‘문화의 레퍼토리(Cultural Repertory)'라고 한다. 사회 구성원은 레퍼토리에 의거해 행동하고 사고하며 생활하지 만 레퍼토리는 시간흐름에 따라 교체, 변화한다. 이런 배경에서 문화도 끊임없이 변화하며, 문화변화를 가져오는 요인은 2가지이며, 하나는 내부적 요인으로서 발견(Discovery)과 발명(Invention), 다른 하나는 외부적 요인으로서 문화전파이다.

3. 문화의 특성


문화는 앞의 기본적인 속성 이외에도 다른 문화와의 교류나 비교 차원 에서 고찰하여볼 때,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갖고 있다.

① 문화의 보편성(Universality)
문화의 보편성은 동일한 환경이나 여건에서, 혹은 다른 환경이나 여건 속에서도,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내용과 형식에서 유사한 문화가 창 조된다 는 것이다. 바로 이러한 보편성 때문에 문화 들 사이에는 어떤 공통성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문화들 사이에는 상호교류를 통해서도 문화적 공통성이 형성될 수 있다.

두 문화 간의 어떤 공통성이나 유사성이 발견되었을 때 형성과정에 관 해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두 문화 사이의 공통성이 두 지역에서 독 자적으로 생성한 문화의 보편성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서로 간 형성 된 상호교류의 결과인지에 대해 확인이 필요하다.

문화의 보편성
(다른 환경이나 여건 속에서나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내용과 형식에 서 유사한 문화가 창조된다. )

② 문화의 개별성(Individuality)
문화의 개별성은 문화의 ‘고유성’ 혹은 ‘독자성’으로도 표현한다. 각각 특정 문화는 자기의 고유한 개성을 지니고 있고 다른 문화와는 구별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문화의 개별성으로 인하여 비록 문화교 류가 발생한다 해도 문화의 완전한 융합, 융화 혹은 동화는 쉽게 일어 나지 않으므로, 문화의 수용 현상이 나타난다.

문화는 보편성도 갖고 있으나, 특정 민족을 단위로 하여 개별적으로 형성, 발전하는 경우도 많은 것이다. 미시적으로 고찰할 때 동일 환경 이나 여건, 동일한 기원을 지닌 문화라고 하더라도 시간이나 공간을 달리하면 일률적으로 똑같은 문화를 창출할 수 없는 것이다. 이러한 개별성 때문에 어떤 문화가 다른 곳에 전파되었을 때 그 문화는 원형 그대로 전파되는 것이 아니라 전파된 지역의 문화적 요소가 가미된 문 화접변(文化接變, Acculturation) 현상이 일어난다.

→ 문화교류의 결과나 성격을 논할 때, 문화의 보편성 이외에도 문화접 변에 의한 개별성에도 관심을 두어야 한다.

문화의 개별성
(어떤 문화가 다른 곳에 전파되었을 때 문화가 원형 그대로 전파되는 것이 아니라 전파된 지역의 문화적 요소가 가미된 문화접변(文化接變, Acculturation) 현상이 일어난다. )

③ 문화의 확산성(Diffusion)
문화의 확산성은 특정 지역(사회의 문화요소들이 다른 지역(사회))으 로 전해져 그 지역(사회)의 문화과정에 통합되어 정착된 현상이다.


문화과정(Culture Process)은 한 지역(사회)의 문화체계를 구성하고 있는 부분들, 또한 문화요소들이 시간을 통하여 끊임없이 상호작용을 계속해 나가는 과정을 말하며, 일명 ‘문화의 강물(Stream of Culture)’ 이라고 한다.


문화확산 혹은 전파는 다른 문화를 위한 전파된 문화의 수용성 여하에 따라 속도와 규모가 통제된다. 언제 어디서나 일단 창조된 문화는 물 리적 거리나 집단 간 갈등장애에도 불구하고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 든 주변에 전해지는 것이 당연하다. 이런 현상을 문화전파의 편재성 (遍在性)이라고 한다. 문화전파의 편재성은 역사적으로 발생한 주요 종교나 과학기술문명이 가까운 주위는 물론, 멀리까지도 신속히 보급 되게 된 사례에서 입증되었다.

문화의 확산성
(문화의 확산성은 특정 지역(사회의 문화요소들이 다른 지역사회로 전해져 그 지역사회의 문화과정에 통합되어 정착된 현상이다. )

4. 문화의 구분

① 문화를 공유하는 집단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한국문화는 한국인이라는 집단이 공유한 문화이고, 미국문화는 미국 인이 공유한 문화이다.


② 지역(사회)에서 집단을 나누는 기준은 성별, 세대, 계급, 지역, 인종, 직 업 등 다양하며, 다양한 기준에 따라 수많은 집단이 만들어지고 이들 은 각각 독특한 자기문화를 공유한다. 이런 하위집단의 문화를 하위문 화(Sub-culture)라 하며, 결국 문화는 수많은 하위문화의 집합체로 구 성되어 있다.

③ 동일한 가치와 권위를 갖고 있는 문화는 존재할 수 없다.
권력이 강한 집단 문화는 강한 힘을 갖고 있지만, 약한 집단의 문화는 지역(사회) 안에서 권력소유집단의 문화에 의해 억압과 차별을 받는다.

다시 말해 지역(사회)의 지배세력이 지닌 문화를 지배문화, 피지배층 의 문화를 피지배문화라고 한다. 저항문화는 피지배집단이 지배집단 에 저항하면서 만들어진 문화라고 할 수 있다.


④ 문화는 눈에 보이는 물질적 속성을 갖고 있는지 아니면 그렇지 않은지 에 따라 물질문화와 정신문화로 구분된다.


⑤ 문화는 심미적 수준에 따라 고급문화(High Culture)와 저급문화(Low Culture)로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고급문화는 주로 서양에서 비롯된 예술적 전통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 문화가 많으며, 저급문화는 대량생 산된 대중문화 산물을 지칭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고급문화와 저급문화는 고정, 불변되어 있는 것이 아니므로, 역사와 시대변천에 따 라 변화하는 유동적인 구분이 강하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