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유아 운동프로그램의 구성
1) 유아 운동프로그램 구성 시 고려사항
(1) 일반적인 고려사항
유아들의 운동프로그램을 구성할 때에는 일반적으로 다음 사항들을 고려해야 한다.
교육대상 : 교육대상으로 하려는 영·유아의 나이·요구·흥미·발달 수준 등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고려해서 프로그램을 구성해야 한다.
가정환경 및 부모의 요구 : 교육대상인 유아들의 가정환경과 그 부모들의 요구사항을 충분히 고려해서 프로그램을 구성해야 한다.
지역사회의 실정 : 교육대상인 유아들이 살고 있는 지역사회의 특성, 사회문화적인 환경, 지리적 특성, 주민들의 생활양식, 사회시설 등도 고려해서 학습내용과 학습활동을 선정해야 한다.
교육과정 : 교육과정을 편성할 때는 누리과정 등에서 법으로 정해놓은 영역과 영양, 건강, 안전, 지역사회와의 교류, 부모에 대한 서비스 등을 고려해서 편성해야 한다.
수업일수와 시간 : 연간 수업일수는 공휴일을 제외하고는 연중무휴를 원칙으로 하는 것이 좋다. 하루 수업시간도 부모들의 근무시간 등을 고려해서 정해야 한다.
학급당 원아의 수 : 교육시설의 형태와 원아들의 연령대에 따라 학급당 원아의 수를 정하고, 학급당 원아의 수를 고려해서 프로그램을 구성해야 한다.
보육시설 : 유아들은 주위환경과 상호작용을 하면서 다양한 활동을 통해서 자란다. 그러므로 보육시설의 자연환경은 물론이고 놀이시설 등 각종 교육시설도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잘 고려해서 프로그램을 구성해야 한다.
(2) 운동능력 고려사항
유아들은 나이에 따라서 할 수 있는 운동이 다를 뿐만 아니라, 인지적·심리적·사회적 측면에서의 발달 정도도 다르다. 따라서 유아들의 운동프로그램을 구성할 때에는 나이에 따른 능력차이를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다음은 나이별로 유아가 할 수 있는 운동의 종류를 정리한 것이다.
2) 기초운동 발달을 위한 운동프로그램의 구성요소
유아들의 기초운동을 안정성 운동, 이동운동, 조작운동으로 나누고, 각각의 운동능력을 발달시키기 위한 운동프로그램에 반드시 포함시켜야할 운동요소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1) 안정성 발달을 위한 운동프로그램의 구성요소
축성 안정성 운동
신체나 신체분절의 중심선을 가운데에 두고 양쪽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움직이거나 관절을 축으로 움직이는 운동을 축성운동이라 한다. 축성 안정성 운동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포함된다.
정적 안정성 운동
정지한 상태에서 균형을 잡는 운동으로, 다음과 같은 운동들이 포함된다.
직립균형잡기(upright balance)
거꾸로 균형잡기(inversed balance) : 물구나무서기
동적 안정성 운동
몸이 움직이는 상태에서 안정되게 균형을 잡는 것으로, 다음의 운동들이 포함된다.
구르기(rolling) : 옆으로, 앞으로, 뒤로 구르기
시작하기(starting) : 출발하기
멈추기(stopping)
피하기(dodging) : 술래 피하기 또는 공 피하기
돌기(turning)
흔들기(swinging)
(2) 이동운동 발달을 위한 운동프로그램의 구성요소
단일요소 이동운동
신체의 위치를 다른 곳으로 이동시키는 운동 중에서 한 가지 운동요소만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단일요소 이동운동이라 한다. 단일요소 이동운동에는 다음과 같은 운동들이 포함된다.
걷기(walking)
달리기(running)
리핑(leaping) : 고랑이나 이랑을 뛰어넘기
모둠발뛰기(jumping) : 제자리에서 앞으로 뛰기
외발뛰기(hopping) : 외발로 깡충깡충 뛰기
복합요소 이동운동
걷거나 뜀뛰기와 같은 단일 요소에 다른 요소가 더 첨가되어 있는 운동으로, 다음과 같은 것들이 포함된다.
기어오르기(climbing) : 나무 또는 바위 기어오르기
갤로핑(galloping) : 말 타는 자세로 뛰기
슬라이딩(sliding) : 미끄러지기
스키핑(skipping) : 두 발을 번갈아서 지그재그로 뛰면서 앞으로 가기
(3) 조작운동 발달을 위한 운동프로그램의 구성요소
추진 조작운동
손이나 발로 물체에 힘을 가해서 물체를 움직이게 하거나 더 빠르게 움직이도록 만드는 운동으로, 다음과 같은 것들이 포함된다.
쓰기(writing)
그리기(drawing)
자르기(cutting)
찌르기(poking) : 손가락으로 찌르기
굴리기(rolling) : 통나무나 물건을 굴리기
던지기(throwing)
치기(punching) : 주먹으로 치기
차기(kicking) : 발로 차기
튀기기(bouncing) : 공을 손으로 튀기기
펀팅(punting) : 막대기로 밀기, 굴렁쇠 굴리기
맞추기(striking)
되받아치기(volleying) : 발리킥 식으로 차거나 치기
흡수 조작운동
날아오거나 굴러오는 물체에 힘을 가해서 정지시키거나 속도를 줄이는 운동으로, 다음의 것들이 포함된다.
잡기(catching)
받기(receiving)
볼 멈추기(ball trapping)
3) 지각운동 발달을 위한 운동프로그램의 구성요소
모든 수의적인 운동은 주위환경이나 신체 내부에 있는 감각기관들로부터 들어오는 각종 감각정보들을 중추신경계통에서 통합하고 해석해서 인지한 다음 그 자극에 대응하는 반응을 하도록 근골격계통에 명령을 내리면 근골격계통이 그 명령을 수행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때 감각기관에는 눈·귀·코·혀와 같이 특별한 기관이 있는 경우도 있고, 촉각·압각·통각·운동감각·공간감각·시간감각처럼 온몸에 감각기관이 흩어져 있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각종 정보를 통합하고 해석해서 인지하는 것을 지각이라고 하는데, 같은 정보가 입력되더라도 사람마다 지각하는 내용도 다르고 반응하는 방법도 다르다. 그러므로 지각운동 능력은 개개인의 감각능력과 인지능력의 영향을 크게 받고, 신체를 조절하고 결합시키는 능력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
지각운동이 감각의 종류만큼이나 다양하기 때문에 지각운동을 발달시키기 위한 운동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요소도 다음과 같이 대단히 다양하다.
신체지각
자기 신체의 위치나 모양, 신체부위 간의 관계 등을 구별하는 능력으로, 다음의 것들이 포함된다.
신체부위 알기 : 신체부위가 어디에 있는지 정확하게 알기
무엇을 움직일 수 있는가? : 신체부위별로 할 수 있는 운동을 알고, 상황에 적절하게 움직이기
신체분절이 어떻게 움직이는가? : 신체분절의 움직임을 정확하게 알기
공간지각
공간 안에서 자신의 신체위치를 인식하는 능력과 공간의 거리와 높이를 구별하는 능력으로, 다음의 것들이 포함된다.
자기 공간과 남의 공간 이해하기
공간에서 안전하게 움직이기
움직임의 높이 이해하기
움직임의 범위 이해하기
방향지각
방향과 측면을 구별하는 능력으로, 다음의 것들이 포함된다.
방향성 : 사물이 놓인 위치 정확하게 알기
측면성 : 위치와 방향을 고려하여 여러 가지 차원 익히기
시간지각
동작의 속도와 리듬을 구별하는 능력으로, 다음의 것들이 포함된다.
시간인식 : 아침/점심/저녁, 과거/현재/미래
리듬인식 : 리듬에 맞추어서 움직이기, 등시성
속도인식 : 빠르게/느리게, 갑자기/천천히
관계지각
사물이나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구별하는 능력으로, 다음의 것들이 포함된다.
관계인식 : 위/아래, 가깝고/멀고, 앞에서/뒤에서, 나란히/둘러싸기
움직임의 질
움직임에 포함되어 있는 균형, 힘, 시간, 흐름 등을 구별하는 능력으로, 다음의 것들이 포함된다.
균형 : 정적 균형과 동적 균형 조절하기
시간 : 속도의 증가/감소 알기
힘 : 운동에 필요한 힘의 크기를 알고 조절하기
흐름 : 움직임을 부드럽게 연결하기
무게지각
근육의 긴장 정도와 자세 변화를 구별하는 능력으로, 다음의 것들이 포함된다.
근육의 긴장도 : 근신경 조절, 무거운 동작과 가벼운 동작
자세 변화 : 자세변화와 평형
'Not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류 연속 방정식 (0) | 2023.04.24 |
---|---|
조선시대 과거제도와 관계, 관직 (0) | 2023.04.23 |
유아 운동발달의 평가 (0) | 2023.04.21 |
성지순례 (0) | 2023.04.05 |
농산물 유통의 경향과 이슈 (0) | 2023.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