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사체육의 의미 중세 사회에서 체육은 교양 7예에 포함되지 않았음(체육의 암흑시대) 기사제도에 의해, 기사의 승마, 수용, 사격, 검술, 수렵, 서양장기, 작시 등 소위 기사의 7예와 같은 체육활동으로 장려됨 → 기사체육이 고대체육의 맥을 근거로 전개되었음 라스트 듀얼: 최후의 결투 1. 중세 귀족 사회의 스포츠 토너먼트 봉건사회 사회질서를 유지하는 축전, 중세기사들의 시합 1대1경기(주스트)와 단체 경기 밀리(melee, 집단전)를 모아 이루어짐 u 마상창시합(馬上槍試合, Joust) 중세 토너먼트의 일부로 진행된, 기병 두 사람이 랜스를 가지고 하는 무 술 내지 대결(위험한 토너먼트 경기) 승자승 방식을 취하기 때문에 경기가 거듭될수록 인원수가 줄어들어 결 국 두사람 만으로 결성을 치르는 방식..

1 | 중세 기독교 사회와 교육 1. 중세의 사회와 문화 중세(Middle Ages) 실제 정확한 구분 없음 서로마 제국 멸망서부터(476년) 동로마 제국이 멸망까지(1453년) 기간 대략 AD 5세기에서 15세기에 이르는 1,000여 년 시기를 가리킴 서로마 제국의 멸망은 게르만 민족의 대이동으로 촉발되었고, 그 후 게르 만 민족이 서로마 제국을 대신하게 됨 → 지중해 연안을 중심으로 형성된 유럽 세계 정치중심은 알프스 산맥 북쪽으로 이동하게 됨 중세유럽의 문화 유럽의 봉건제도(국왕을 정점으로 하고, 기사를 저변으로 하는 피라미드 형 계층구조)가 중심, 지배층은 영주와 기사계층, 교회 성직자 봉건제도와 가톨릭교회를 기반으로 하여 성립 → 십자군 원정으로 서유 럽 사회가 차츰 변화하여 장원제 틀..
스포츠의 이해 1.스포츠의 개념 정립 스포츠란 용어는 경쟁과 유희성을 가진 신체운동 경기를 지칭함 라틴어 ‘물건을 운반한다’라는 ‘디스뽀르따레(Disportare)’ 에서 기원 ‘답답함을 풀어주다, 즐기다’라는 뜻에서 신체활동을 포함한 넓은 영역 의 활동을 지칭하게 됨 스포츠는 운동에 참여하는 사람 수와 형태에 따라 한 사람, 한 사람이 하는 개인운동과 여러 사람이 참여하는 단체운동으로 구분 스포츠는 개인의 건강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줄 뿐 아니라, 단체운동의 경우 경쟁심을 고취하여 구성원의 협동정신을 높이는 효과를 얻음 ※ 체육 인간의 신체적 활동을 통하여 근육을 단련하고, 사회가 요구하는 완성 된 인격을 만들려는 교육적 작용 →건전한 몸과 온전한 운동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 오늘날 잘 알..

스포츠 문화의이해 1.문화의 개념 개념 정립 문화(Culture)는 간략히 인간에 의해 이룩된 정신적, 예술적 표현의 모 든 것, 언어, 종교, 신앙, 관습, 규범, 제도, 기술, 예술 및 의례 등을 포 함하며, 사회 구성원에 의해 공유되는 지식, 신념, 행위 어원 문화 용어는 독일어 ‘Kultur’나 영어와 프랑스어 ‘culture’ 역어(譯語) 문화란 말은 어원적으로 ‘Kultur’나 ‘culture’는 라틴어 동사 ‘colo’(경 작하다, 가동하다, 완성하다)에서 유래하였고, ‘경작’ ‘재배’ ‘배양’ ‘교 양’ 및 ‘수양’ 등 다양한 의미를 포함 문화란 ‘자연 상태의 사물에 인간의 작용을 가하여 그것을 변화시키거 나 새롭게 창조해 낸 것을 의미하였다’고 이해됨 2. 문화의이해 2. 문화의 ..

1. 서비스의 개념 “서비스를 유형제의 소유권 이전을 제외한 시장거래의 대상이며, 기업이나 경영자에 대한 시장거래“ - Judd(1964) “서비스는 시장에서 판매되는 무형재“ – Rathmell(1966) “서비스를 한 쪽이 상대편에서 제공하는 효용이나 활동으로서 그것 은 본질적으로 무형적이며 일부는 소유로 귀결되지 않는다“ – Kotler(1983) “서비스란 욕구충족의 대상이 되며 다른 서비스의 판매와 관련되어 있지 않은 활동으로서 식별이 가능한 무형의 행위를 말하며, 서비스 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유형의 제품사용이 사용된다 할지라도 제품으 로서의 소유권 이전은 일어나지 않는다“- William(1984) 김성혁(2000)의 서비스에 대한 정의(4가지 계보) 활동적 정의 : “서비스란 판매를 위하여 ..

함수의 개념 함수(function): 특정 작업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반환하는 문장들의 집합 함수의 장점 함수를 사용하면 코드가 중복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한번 작성된 함수는 여러 번 재사용할 수 있다. 함수를 사용하면 전체 프로그램을 모듈로 나눌 수 있어서 개발 과정이 쉬워지고 보다 체계적이 되면서 유지보수도 쉬워진다. 함수의 정의 반환형(return type) 함수 헤더(function header) 함수 몸체(function body) 반환형 함수 이름 앞에 반환하는 데이터의 유형을 표시한다. char, int, long, double … 등이 가능하다. 반환형이 없으면 void로 표시 함수 이름 일반적으로 동사+명사 (예) compute_average(), get_integer(..

정렬이란? 정렬은 물건을 크기순으로 오름차순이나 내림차순으로 나열하는 것 정렬은 컴퓨터 공학분야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알고리즘중의 하나 정렬은 자료 탐색에 있어서 필수적이다. (예) 만약 사전에서 단어들이 정렬이 안되어 있다면? 버블 정렬 #include #define SIZE 5 int main(void) { int i, k; int list[SIZE] = { 16, 7, 9, 1, 3 }; // 배열의 요소를 정렬한다. for (k = 0; k list[i + 1]) { // 크기 순이 아니면 // 서로 교환한다. int tmp = list[i]; list[i] = list[i + ..

배열 : 많은 값을 한꺼번에 저장할 수 있는 저장 장소 배열의 필요성 학생이 10명이 있고 이들의 평균 성적을 계산한다고 가정하자. 배열의 선언 배열 요소와 인덱스 인덱스(index): 배열 요소의 번호 배열 선언의 예 배열 요소 접근 배열 선언 예제 #include int main(void) { int i; int scores[5]; scores[0] = 10; scores[1] = 20; scores[2] = 30; scores[3] = 40; scores[4] = 50; for(i=0;i < 5; i++) printf("scores[%d]=%d\n",i, scores[i]); return 0; } 배열과 반복문 배열의 가장 큰 장점은 반복문을 사용하여서 배열의 원소를 간편하게 처리..

프로그램에서 값들이 저장되는 공간을 변수(variable)라고 한다. 변수가 만들어지는 곳 변수는 메인 메모리에 만들어진다. 변수가 필요한 이유 (Q) 만약 메모리를 변수처럼 이름을 가지고 사용하자 않고 주소로 사용하다면? “219번지에 0을 대입하라” (A) 충분히 가능하지만 불편하다. 인간은 숫자보다는 기호를 더 잘 기억한다. 변수 선언 변수는 사용하기 전에 반드시 미리 선언(declare)하여야 한다. 자료형 자료형(data type): 데이터의 타입(종류) 정수형 데이터(100) 실수형 데이터(3.141592) 문자형 데이터(‘A’) char c; // 문자형 변수 c 선언 int i; // 정수형 변수 i 선언 double interest_rate; // 부동..

에러(error): 컴파일, 링크가 불가능한 심각한 오류 경고(warning): 컴파일, 링크는 가능하고 실행도 가능하나 잠재적인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경미한 오류 컴파일 시간 오류: 대부분 문법적인 오류 실행 시간 오류: 실행되는 도중에 발생하는 오류 논리 오류: 논리적으로 잘못되어서 결과가 의도했던 대로 나오지 않는 것 오류가 발생하는 프로그램 // 에러가 발생하는 프로그램 #include int main(void) { printf("Hello World!\n") return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