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소프트웨어 생명 주기는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의 바탕이 되는 것으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해 정의하고 운용, 유지보수 등의 과정을 각 단계별로 나눈 것 ② 소프트웨어 생명주기는 소프트웨어 개발 단계와 각 단계별 주요 활동, 활동의 결과에 대한 산출물로 표현하며, 소프트웨어 수명 주기라고도 함 ③ 소프트웨어 생명주기의 역할 - 프로젝트 비용 산정과 개발 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기본 골격이 됨 - 용어 및 기술의 표준화를 가능하게 함 - 문서화가 충실한 프로젝트 관리를 가능하게 함 일반적인 소프트웨어 생명 주기 ① 정의 단계 - 무엇을(what)을 처리하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것인지 정의 하는 단계로, 관리자와 사용자가 가장 많이 참여하는 단계 - 타당성 검토 단계 : 개발하기 위한 여건 등 파악, 기..

① 사람이나 생물에 해를 끼치는 것, 때로는 유익하게 작용하거나 또는 전혀 해가 없는 상태로 존재하며 증식과 휴식 사멸을 반복한다. ② 단세포든 다세포든 간에 조직에 분화가 거의 인정이 안 되는 단순한 생물군이다. ③ 세균, 바이러스, 원충, 진균 등이다. ④ 크기가 아주 작다. ⑤ 증식이 단순하고(분열, 출아, 포자 형성 및 복제 등), 속도가 빠르다. ⑥ 자극에 저항력이 약한 것도 있지만 대체로 강하다(내열성 바이러스, 협막 및 아포형성균). ⑦ 소독 및 멸균으로 감염력을 정지시킬 수 있다. ⑧ 감수성 숙주의 경우 감염질환을 야기시킨다. ⑨ 항원 자극에 의한 항체 생성을 하는 경우가 많다. ⑩ 감염에 의해 자연 능동면역을 일으킬 수도 있다. 병원성 미생물의 증가 및 특성 유익균 유해균 증가원인 : 기..
1. 죽음에 대한 논의 1. 인생(삶), 죽음이란 무엇이냐 ( The quality of death) 2. 죽음의 인지(Awareness of Dying)- 사망에 이 르는 과정 - Glaser & Straus (1965) 3. 급속한 고령화로 인해 노인문제와 죽음 준비 4. 현실적 장례서비스와 장사시설에 대한 관심 2 죽음에 대한 생각 의 유형 1. 고통 및 불안에 대한 두려움 2. 외로움에 대한 걱정 3. 가족과 사회에 대한 부담 4. 미지의 세계에 대한 공포 5. 인생의 임무를 다하지 못한 죄책감 6. 사후 심판과 벌 3.죽.음죽에음대의한논의미 1. 죽음과 개인 : 두려움과 공포의 대상 2. 삶과 죽음의 관점 : 1) 가치론적 입 2) 종교론적 입장 3) 경제적 입장 3 죽음의 종류 1) 질병에 의..
고대 : 보건 태동기(기원전〜A.D 500년) § 질병을 신을 노하게 하거나 악령이 씌워져서 질병이 발생한다고 인식 § 질병에 대한 치료로 주술, 제사, 제물을 바치는 주술사의 의식에 의존하던 시기 § 이집트 - 위생학이 발달하였고 질병과 치료에 관한 기록이 전해지고 있음 § 인도 - 우물, 하수, 쓰레기 처리장 등의 위생시설 발달 § 그리스 Ø 히포크라테스(Hippocrates)는 질병을 신의 저주나 죄의 결과가 아닌 기후와 오염된 물 등의 외부환경에서 비롯된다고 설명, 인체의 혈액,점액,황담즙, 흑담즙이 불균형하게 분비되어 질병이 야기된다는 '4체액설' 주장 § 로마 Ø 갈레누스(Galenus A.)는 생활환경이 더럽혀져서 생기는 환경적 인자인 장기(miasma), 다시 말하면 나쁜 공기가 병을 일으..

동아시아의 경제교류 1.상호교역 (1)세계자본주의의 블록화 가.일본의 대한(對韓), 대중(對中) 교류 확대 나.중국의 생산력 증대(1차산품 수출)와 대외적 경제교류 확대 다.한국의 미,일 의존 경제구조 한계 (2)韓日무역 가.한국은 대(對)일본 무역에서 농수산물,경공업 제품 수출,기계.기구 수입(1988년 현재 63.4%:58.9%) 나.수입편중,만성적인 무역적자(1992년 수입 24%,수출15%,적자규모 79억 달러) ;일본의 설비와 부품,기술에 대한 의존도 높아 ;일본상품과 경쟁하는 “제2의 일본” (3)韓中무역 가.중국은 세계시장에서 한국과의 경쟁 ;11종의 소비재에서 1위 ;노동집약적 상품 경쟁력에서 한국 앞질러 ;1992년 한국 수출증가율의 2.5배인 16.5% 증가 나.對中무역에서의 주요수출품..

사회구조와 여성 1.중국 (1)남아선호사상 : ‘生育計劃’을 펼치고 각종 우대정책을 펼치지만,아들을 낳기 위한 출산전쟁은 여전하다. ;먼 외지로 나가 아들을 낳아오는 경우,첫아이가 발육불량이라는 의사증명서를 받아 두 번째 아이를 낳을 수 있는 준생증을 얻는다. ;그도 아니면 아들을 낳기 위한 ‘산아유격대’에 참가,전국을 떠돈다. (2)姓 : 과거에는 아버지 성만 따랐으나 요즘에는 아버지나 어머니 양자 중 아무쪽이나 따른다. ;남매인 경우,아들은 아버지,딸은 어머니를 따르기도 한다. ; 여자는 결혼 후 남편의 성을 자기 성명 앞에 남편의 성을 덧붙인다. 지금도 홍콩이나 마카오는 이 풍습을 그대로 따르고 있다. 2.일본 (1)출산률 저하 : 1980년 현재 1.75명. 1990년 1.43명. ; 원인은 여성..

놀이문화와 축제 1.의미:본질적으로는 “정신문화” (1)명절의 의미 부각;우주의 에너지 보충 가.漢族의 세시민속:원소절의 등불구경,2월 12일의 꽃시장,청명절의 산보,단오절의 용선놀이,7월 7일의 乞巧,8월 15일의 추석의 달구경,9월 9일의 국화 감상 나.미아오족(苗族)의 세시민속 :정월의 대창과 투우.말시합.銅鼓 두드리기 ;6월의 蘆笙(생황)에 맞춘 대창.투우.말시합 ;6월 6일의 蘆苼춤과 투우 ;6월 18일의 투우.대창.노생춤 ;7월 23일의 노생불기와 투우.대창 ;9월 9일(重陽節)의 노생불기와 투우.말시합 ;10월 卯일의 노생불기와 투우.대창.말시합 ;10월의 투우.銅鼓두드리기. (2)개인과 사회단체 간의 사교;공동체 의식 고취 가.중국:줄다리기로 풍작과 행복 기원 ;닭싸움(현대에 부활,광서 쫭..